잡지 《청년문학》 주체112(2023)년 제1호에 실린 글
시
로장의 손
송예령
로장동지의 손은
정말 억세기도 합니다
한생 쇠물을 끓이고 강편을 뽑은
그 열정의 흔적입니까
강철로 조국을 받들어온
그 성스런 삶의 표적입니까
펜을 쥐였던 이 여린 손으로
그 손을 잡으니
가슴이 뭉클해짐을
정녕 어쩔수 없습니다
이 손에서 사시절
강선의 쇠물이 끓었습니다
낮이나 밤이나
강선의 붉은 노을이 지펴졌습니다
우리 집 창가에도
내가 공부를 하던 교실 창가에도
그 노을이 떠날줄 몰랐습니다
약동하고 전진하는 이 땅의 모든 생활을
용해공들의 이 손이 받든것 아닙니까
웃음소리 넘쳐나는 새 거리들
저녁이면 내 동생의 노래소리 그칠새 없는
우리 집의 그 모든 행복도…
올해를
변혁의 해로 빛내이려
부강조국의 기둥을 강철로 받들며
쇠물보다 더 뜨겁게
열정을 바쳐온 강선의 용해공들
당앞에 다진 맹세를 지켜선
그 가슴들에서 먼저 익어
용암처럼 이글거리는 쇠물빛은
용해공들의 심장과 언제나 한빛갈
생각도 많아집니다
용해공의 손은
내 한생 조국위해 바쳐갈
애국의 마음을 비쳐보는 거울입니다
공민의 량심을 비쳐보는 거울입니다
누구보다 조국을 열렬히 사랑하기에
로와 함께 한생을 살아온
로장동지 그의 손을 잡으니
아, 내 가슴속에 노래가 울립니다
《애국가》의 구절구절이 파고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