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111(2022)년 12월 23일 《우리 민족끼리》
백두청춘들이 또다시 받아안은 솜옷
오늘도 우리 인민은 인적없는 심심산골에 솔선 달려가 당의 뜻을 꽃피우며 거기에서 더없는 긍지와 삶의 보람을 찾던 청년들, 스스로 《백두청춘대학》이라는 과정안을 만들고 매일, 매 시각 티없이 깨끗한 량심의 총화로 백두의 메부리와도 같은 신념과 의지를 벼리던 백두청춘들의 모습을 잊지 못하고있다.
그들을 하늘높이 떠받들어 내세워주신
《백두대지에 뿌린 청춘들의 애국충정의 땀방울을 당과 조국과 인민은 영원토록 기억할것입니다.》
몇해전 어느날이였다.
백두산영웅청년3호발전소건설을
불과 몇달전에
그런데
청년돌격대원들의 격정은 이루 헤아릴수 없이 컸다. 그와 함께 의문도 컸다.
(어떻게 되여 우리들에게 이렇게 또다시 솜옷이 안겨지게 되였을가?)
바로 여기에는 참으로 감동깊은 사연이 깃들어있었다.
청년돌격대원들에게 처음 사랑의 솜옷이 안겨진 때로부터 얼마후였다.
일군들은 칼날같이 예리하고 맵짠 바람이 휘몰아치는 북방의 혹한속에서도 솜옷을 입지 않고 일하는 현상을 두고 그것이 건강을 뽐내기 좋아하는 청년들의 일반적인 심리라고 생각하면서 청년들속에서 나타나는 부분적인 현상으로만 여겨왔다.
그러나 사실 청년들은
고향의 부모들과 마을사람들에게 자랑하고 가보로 간직하고싶어 엄혹한 추위속에서도 선물솜옷을 입지 않고 소중히 건사했을 청년들의 마음을 그 누구보다 다심히 헤아리신
이렇게 되여 청년돌격대원들은 또다시 솜옷을 받아안게 되였던것이다.
세상에 청년들이 지닌 당에 대한 깨끗한 충성의 마음을 이처럼 속속들이 헤아리시여 거듭되는 은정을 베풀어주시는
이 이야기는
하지만 백두대지의 청춘대기념비와 더불어 전해진 가슴뜨거운 사실은 이 나라 수백만 청년들의 심장마다에 새겨주고있다.
(자료사진)
본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