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112(2023)년 1월 22일 《우리 민족끼리》

 

우리 민족의 설명절풍습

 

우리 선조들은 일찌기 고대시기부터 설명절을 쇠여왔다. 설명절풍습은 삼국시기를 거쳐 고려, 조선봉건왕조시기로 이어지면서 보다 다양하고 풍부해졌다.

설명절을 하루 앞둔 섣달그믐날에는 집안팎을 깨끗이 정리하고 여러가지 그림을 그려 벽장이나 병풍에 붙여서 명절분위기를 돋구었으며 설옷(설빔, 세장)과 설음식을 준비하였다.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설명절풍습에는 《차례》와 세배, 설음식대접, 민속놀이가 있다.

설명절《차례》는 설날 새벽에 먼저 돌아간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내는것을 말한다. 설명절의 《차례》상에는 여러가지 제사음식들과 함께 반드시 떡국을 올렸으므로 《떡국차례》라고도 하였다.

《차례》가 끝나면 명절옷을 차려입고 집안과 마을의 웃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리였다. 세배는 여러가지 축하의 인사말을 하면서 우리 민족의 고유한 인사법인 조선절로 하였다. 동년배나 아래사람들에게는 좋은 말로 《덕담》을 하였다. 세배풍습은 우리 민족이 웃사람을 존경하고 례의를 귀중히 여겨온데서 생겨난것이다. 세배가 설명절의 가장 중요한 례식이였으므로 설명절날부터 보름남짓한 기간에는 먼곳에 있는 웃어른들에게도 찾아가 세배를 하였으며 부득이한 경우 오늘의 년하장과 비슷한 《세함》이나 인편을 리용하여 인사를 보내는 간접적인 방식도 택하였다.

(자료사진)

설명절날 명절음식을 차려놓고 가족, 친척들과 이웃들끼리 나누어먹는것이 제일 이채로왔다. 설명절음식을 《세찬》이라고 하였는데 대표적인것으로는 찰떡, 설기떡, 절편과 같은 여러가지 떡류와 지짐, 수정과, 식혜, 고기구이 등이였다. 그 가운데서 제일 손꼽히는것은 떡국이였다.

떡국은 백미가루를 쪄서 긴가래떡을 만든 다음 그것을 잘게 썰어서 꿩고기국에 넣어 끓인것이다. 예로부터 전해져오는 《꿩대신 닭》이라는 속담은 원래 떡국은 꿩고기를 넣고 끓여야 제격이나 그것이 없을 때에는 닭고기를 대신 쓴데로부터 나온 말이다. 설명절에 떡국을 먹는것은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풍습이다. 하기에 예로부터 항간에서는 떡국을 몇그릇 먹었느냐는 물음이 나이를 물어보는 말로 통용되였다.

설명절을 특별히 장식하게 한것은 여러가지 민속놀이였다. 이날의 민속놀이로는 윷놀이와 널뛰기, 연띄우기와 썰매타기, 팽이치기, 제기차기, 바람개비놀이 등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남녀로소의 구분이 없이 누구나 다 모여놀수 있는 윷놀이가 제일 인기있었다.

마을녀인들이 모두 모여 즐긴 널뛰기도 설명절분위기를 한층 돋구었다. 설명절날에 아이들은 새해에 자기들의 소원이 성취되고 행복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면서 연띄우기놀이를 하였다. 이러한 민속놀이들은 사람들의 정서발전과 체력단련에 좋은 작용을 하였다.

이처럼 오랜 세월 이어져온 설명절풍습에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적인 생활풍습, 아름다운 민족성이 짙게 어려있다.

오늘 우리 민족의 우수한 민족전통은 세기적인 기적과 변혁이 창조되는 위대한 시대, 인민의 웃음소리 넘쳐나는 로동당시대와 더불어 더욱 빛을 뿌리고있다.

본사기자

되돌이
감 상 글 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