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회)

제 1 장

1

(1)

 

아스라하게 높은 하늘로 날아가는 기러기떼의 구성진 노래소리가 해빛이 눈부신 파란 공간에 가득 울려퍼졌다.

말을 끌고 길을 가던 김창억은 이마에 손채양을 붙이고 그 기러기떼를 우두커니 바라보았다.

솔잎처럼 두줄로 가지를 치고 길게 늘어선 기러기들은 서로 쾌활하게 부르고 화답하며 날음을 재촉하고있었다.

창억이는 문득 걷잡을수 없는 희열이 북받쳐올라 팔을 높이 쳐들어 흔들어대며 목청껏 소리쳤다.

《후여- 돌아서- 돌아서라- 후여-》

유격근거지가 생겨 조선사람들끼리 정사를 다스리는 좋은 세상이 왔는데 어디로 날아가느냐 하는 생각에서였다.

《후여- 후여-》

그가 소리치거나말거나 계절의 변화에 따라 대륙과 대양을 건너 보금자리를 옮겨가는 계절조들은 유유히 날개를 저으며 날아가고있었다.

창억이는 스스로도 제 소행이 우스워 껄껄거리다가 혼자소리로 중얼거렸다.

《기러기야 기러기지. 저것들은 아무것도 몰라, 모르거던. 허허허…》

그는 기분좋은 흐뭇한 미소를 머금고 말고삐를 툭툭 채였다. 말은 그가 이끄는대로 유순하게 따라왔다.

가을도 저물어 길가의 설핀 수풀에는 누렇게 황이 들고 산기슭의 나무숲을 불사르는듯 하던 빨간 단풍빛도 바래여갔다. 길우에서 분주히 날아돌던 몸체가 투명한 잠자리들도 보이지 않는다.

쌀쌀한 바람이 불어왔다.

중간지대의 오목동에서 유격근거지로 들어가는 이 달구지길은 얼마전부터 인적이 끊어졌다. 창억의 발밑에서는 황토색흙먼지가 풀썩풀썩 일고 뒤따르는 군마의 편자소리만이 정적속에서 단조롭게 울렸다.

그러나 그는 한적기를 느끼거나 의기소침해지기는커녕 오히려 남아의 강심을 품고 세상의 찬바람속에 홀로 나선듯 하여 더 의기양양해져서 앞가슴을 열어헤치고 활개를 저으며 걸음을 다그쳐갔다.

그는 억대우같은 청년이다. 해빛과 바람에 그슬려 벽돌빛으로 탄 얼굴에서는 피발이 선 눈이 환희에 넘쳐 번쩍이고 꾹 다문 두툼한 입술에는 든든한 배심과 흐뭇한 만족이 어려있다. 남의것을 물려받아 입은 짧은 양복저고리며 무릎을 기워입은 조선바지도 그의 내심에서 풍겨나오는 기상을 초라하게 깎아내리지 못하는듯 하다.

그는 거의 뒤를 돌아보지 않고 고삐만을 툭툭 재며 말을 재촉하였다. 그에게 끌려가는 공골말은 기름기가 자르르한 밤빛털에 몸매가 유들유들하게 늘씬한데다가 숱이 많은 갈기가 목에서 흐느적이여 어지간히 사나와보였다. 그러나 고삐를 늦춰줌이 없이 바싹 바투 잡고 자기를 끌고가는 청년의 손아귀힘을 륙감으로 느꼈는지 갈갤 엄두도 내지 못하고 맹목적으로 머리를 끄떡거리며 따라갔다.

창억이는 지금 오목동의 대장간에 갔다오는 길이다.

오늘 아침 현당조직책 권일균이 적위대에서 추천한 유격대입대자들을 현지에서 심의하기 위하여 마촌에 내려왔었다. 그런데 뜻밖의 일이 생겼다. 그의 말이 길바닥에 내민 돌부리를 차서 불꽃을 날리며 편자 두개가 떨어져나갔던것이다. 흔히 있을수 있는 이 일을 불길한 천조로 느꼈던지 권일균은 몹시 불쾌해하며 쏘베트도 세웠는데 길도 좀 버젓하게 내라고 사람들을 꾸짖었다. 그리하여 현당위원인 홍병일이 적위대로 와서 창억이더러 동림촌 대장간에 가서 얼른 마철을 신겨오라고 했다.

창억은 동림촌으로 가다가 마음을 고쳐먹고 손재간으로 소문이 자자한 마제사가 있는 오목동 대장간으로 말을 달리였다. 애꾸눈인 마제사령감은 말이마에 붙어있는 패찰을 들여다보더니 화다닥 놀라서 뒤걸음질치며 이상야릇한 비명을 질렀다.

《아이야-》

창억이는 비로소 그 패찰에 주의가 갔는데 그것은 황금빛으로 번쩍거리는 팔각의 놋쇠쪼각이였다.

《이게 동두령님이 타시던 룡마가 아니요? 여기 와서 편자를 신겨간 일이 있어 눈에 익소. 두달전 두령님이 애마를 잃었다는 소문을 들었는데, 아이야- 세상사란… 당신네 손에 들어갔군.…  난 못하겠소. 어느 칼에 목이 날아나자구? 이 일을 알면 당장 포졸들이 달려와서 나를 잡아갈게요.》

창억은 진짜 동두령의 룡마여서 겁을 먹은겐지, 품삯을 높이 부르자는 수작인지 몰라 령감을 사납게 쏘아봤다.

그는 세상돌아가는 형편을 보고 처신하라고 슬그머니 위협하며 우리가 다 책임질테니 마철이나 신기라고 을러메였다.

그의 위협에 움츠러든 마제사는 어느 편이나 어서 세상을 평정하옵소서 하고 하늘에 빌며 한숨을 짓더니 말을 나무틀속에 들여세웠다.

말발굽에 편자를 다 신긴 마제사는 이마와 목에서 진땀을 훔치며 세상에 으뜸인 무한강쇠로 벼린 편자를 신겼으니 말이 달릴 때의 그 희한한 편자소리의 가락은 천군만마를 불러일으키는 북소리같고 또한 그 소리에 맞추어 무희들이 칼춤을 추어도 제격일것이라고 엮어내리고는 품삯으로 귀밀 두말을 내라고 했다.

창억은 눈을 사납게 디룩거리며 부르죠아로 청산되고싶지 않거든 품삯을 그따위로 높이 부르지 말라고 으르고는 석달후 혁명이 승리하면 마촌쏘베트에 와서 값을 받아가라고 했다.

창억은 그쯤하면 소부르죠아를 멋지게 다루었다고 생각하니 속이 흐뭇해나서 말을 돌아봤다. 말도 무엇을 느꼈는지 뭉클한 주둥이로 그의 목이며 어깨를 툭툭 건드리며 냄새를 맡아보더니 시큼한 코김을 내불고 소리없이 웃는듯 입을 쩍 벌렸다.

창억은 그 모양이 우스워 껄껄 웃으며 갈기를 쓸어만졌다.

《허허… 괴짠데? 이 미물아, 내가 맘에 들어?… 엉?》

말은 파리우리한 빛이 도는 시꺼먼 눈으로 그를 유순하게 보다가 눈시울을 슴벅이였다.

《맘에 든다. 흠… 그럼 얘기해보세. 추천자 십여명중에서 왜 하필 이 창억이를 골라서 심부름을 보내겠나. 다 보는데가 있어 그런게 아닌가. 유격대입대야 물어보나마나한게 아닌가?… 엉?… 물어보나마나한게지?… 에-라, 혁명이 이길 날도 멀지 않았겠다, 조선이 독립이 되문 너두 고생을 덜하게 돼. 이 미물아, 알겠어? 내가 유격대원이 된 다음 한번 와서 봐라. 왜놈들을 어떻게 때려엎는가.…》

갑자기 말은 대가리를 쳐들고 사납게 흔들어대다가 투레질을 하면서 돌아섰다. 창억은 눈을 부릅뜨고 고삐를 우악스럽게 잡아채며 말을 바로 돌려세우려고 안깐힘을 썼다.

《뭐가 어째? 코웃음을 쳐? 네깟놈이… 네깟놈이…》

어느사이 그의 몸은 말안장으로 날아올랐다. 말은 불길처럼 휩쓸어드는 질주의 쾌감에 전률하여 근육을 부르르 떨다가 뒤발로 땅을 걷어찼다. 말은 경사가 그리 급하지 않은 밋밋한 고개길을 따라 냅다 뛰여갔다.

 

되돌이
감 상 글 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