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회)
제 1 장
2
(1)
왕청산골에 사는 조선사람토배기들은 험준한 산세와 산골물의 세찬 흐름을 닮아서인지 기상이 도도하고 성미가 드세였다. 여기에 언제 그네들의 생활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는지 딱히 아는이가 없었다.
북망산을 눈앞에 바라보는 늙은이들의 옛말같은 이야기에 의하면 어느 집 조상들이나 조국강토를 휩쓴 무서운 수해와 왕가물뒤의 기근에 쫓겨, 세기를 넘기지 못하고 거듭된 전란에 쫓겨 처자권속들을 거느리고 두만강을 건너 이 산간오지로 들어왔다는것이였다. 그중에서도 전란의 참혹한 재난은 로인들의 담배진이 밴 전설로 엮어져 후손들의 가슴에 외적에 대한 저주와 증오를 심어주었는데 그것은 족보의 성씨처럼 변함없이 자자손손에 물려졌었다. 어느 민족의 어느 강토가 이처럼 외래침략자들의 강탈을 당하였겠는가!
전란에 뒤따르는 기근과 사람의 기름을 짜내는 수탈에 못 견뎌 사람들은 류랑의 길을 떠나 북으로, 북으로 지친 걸음을 옮기다가 일망무제한 묵은땅이 있다는 대륙에 유혹되여 두만강을 건넜다.
류랑민들은 수수농사를 지으며 수수한이삭을 지게로 겨우 지고 일어선다는 비옥한 땅에서의 생활이 신기루처럼 눈앞에 어른거려 지칠줄 모르고 화룡땅으로, 룡정땅으로, 왕청땅으로, 훈춘땅으로 걸음을 다그쳤다.
류랑민들은 화전을 일구려고 원시림을 찍어내고 산에 불을 질렀다. 산간오지 처처에서 피여오르는 시커먼 연기에 간도땅 하늘이 거멓게 흐려진 때가 있었다. 산령을 휩쓰는 불길에 자기들의 활무대를 잃고 로야령산줄기의 깊은 막치기로 쫓겨간 맹수들은 밤이면 먼 인촌의 불빛이 반디불같이 반짝이는것을 내려다보며 복수심에 느침을 흘리면서 하늘이 허물어져내리도록 울어댔다.
맹수들은 대낮에 버젓이 대왕청골짜기와 소왕청골짜기를 따라내려와서 강냉이밭, 무우밭, 감자밭을 짓이겼으며 가축들을 잡아갔다. 맹수중에서도 제일 영악한것은 만주범이였다. 멀리 우쑤리강류역까지 하루밤사이에 넘나든다는 만주범들은 대왕청골짜기와 소왕청골짜기를 따라 내려오다가 백바위와 뾰족산꼭대기에 올라 앞발을 벋딛고 앉아 망을 보다가는 휘파람같은 소리로 공기를 째며 날아내려와 집짐승이며 사람까지 물어갔다.
사람과 만주범과의 혈투는 몇대를 내려오며 계속되여 수백수천가지의 무서운 민화를 엮어내고 조선농가의 전통적인 건축양식마저 변경시켜 어느 집에서나 방문옆에 범이 오면 불화로를 내던질 뙤창까지 내게 했다.
그러나 오늘은 여기에 사람들의 들썩한 생활이 굽이치고있다.
대두천에서 15리쯤 올라가면 상경리라는 마을이 있다. 거기에서 두 골짜기가 갈라지는데 왼쪽골짜기를 소왕청, 오른쪽골짜기를 대왕청이라고 부른다.
소왕청골짜기어귀의 뾰족산을 지나 인차 있는 20호정도의 마을이 동림촌이고 4~5리 더 들어가있는 마을이 마촌, 거기에서 6~7리 더 올라가서 있는 100여호의 마을이 두천평, 막치기에 있는 40여호의 마을이 황갈촌이다.
대왕청골짜기를 따라올라가면서는 첫 마을이 서대포, 둘째 마을이 대왕청, 다음에 100여호의 화전농가가 들어앉은 마을이 십리평이다. 대왕청골짜기의 막치기는 밋밋한 등판에 이르러 소왕청골짜기와 합치게 된다.
대왕청골짜기를 흐르는 물은 대왕청하, 그 지류로서 소왕청골짜기를 흐르는 물은 소왕청하라고 부른다.
형제중에서 흔히 형의 성미가 유하면 동생이 드센것처럼 대왕청하의 힌름은 유유하고 소왕청하의 흐름은 세차다. 그러나 성미가 서로 다른 이 두 물줄기를 끼고앉은 마을들중에서는 산세의 조화로 마촌이 제일 아늑하다.
폭이 400~500메터가량 되는 옴폭한 골안에 들어앉은 마촌에서는 30여호의 농가가 의좋게 살아가고있었다.
길주, 명천쪽에서 온 마씨네가 많이 산다고 마을이름을 마촌이라 불렀다고 한다.
일제의 침략, 《한일합병》후에 두만강을 건너오는 류랑민들의 흐름은 갑자기 불어났다. 그 흐름속에는 성스러운 보복의 비수를 품고, 불덩이같이 이글거리는 우국충정과 조국광복의 뜻을 간직하고 건너오는 지사들과 열혈청년들이 태반이였으며 로씨야에서 불어오는 새 사조의 열풍을 가까이에서 맞기 위하여 오는이들도 있었다.
아득한 옛날에는 사람들이 입에 풀칠이라도 하며 살아보자고 대륙의 황야와 원시림속으로 흩어져갔다면 오늘에는 조국을 찾자고, 조국광복의
뜻을 벼리며 동지와
그리하여 세상에서 사회운동이 태동하기 시작하면 산간오지가 먼저 소리쳤다.
왕청오지도 같았다. 한때에는 홍범도의병이 화승총소리를 높여 산촌을 불러일으키더니 다음에는 독립군의 소문이 자자하게 났다. 십리평에는 북로군정서사관연성소라는것까지 생겨 구령소리가 산벼랑에 메아리치고 군자금을 모은다, 군량과 마량을 모아들인다 법석대다가 왜놈의 《토벌》에 갈가마귀떼처럼 쫓겨나 어디론가 사라져버렸다.
이런 돌개바람이 좀 뜸해지는것 같더니 어디서 나타났는지 《맑스머리》에 눈이 시뻘건 패거리들이 뛰여들어와 사람들을 폭동에로 내몰아서 간도의 황야와 산간오지를 피로 물들였다.
대륙을 휩쓰는 거세찬 시대의 바람이 간도오지에 와서 회오리치며 온갖 사상과 야망과 공명과 영웅주의의 씨앗들을 뿌려놓았으니 눈물과 땀과 피로 걸어진 이 땅은 여러가지 사조의 잡초가 무성하게 설레이는 황무지나 같았다.
몇달전부터 이 땅에 유격근거지들이 생겼다. 화룡에도 생기고 연길에도 훈춘에도 련이어 생겼다.
왕청현에도 소왕청골짜기와 대왕청골짜기를 중심으로 근거지가 꾸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