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07 회)
제 8 장
1
(2)
×
활짝 열려진 방문에서 쏟아져나가는 불빛이 뜨락에 엉거주춤 서있는 두 농민을 환히 비쳤다.
김진세는 머리를 수굿하고 입을 무겁게 다물고있었으나 마종삼은 그렇지 않았다. 그는
《생각다못해 찾아왔습니다. 무엄한줄 알면서두 섭섭하고 분해서… 여기 진세형님도 앉아있지만 저는 그저 이 형님한테만 못살게 굴었습니다.
위원이라면서 이런 일을 보고만 있겠느냐고. 그래서 같이 찾아왔습니다.》
《저희들이 무엇을 잘못한 모양이군요.》
《아닙니다.
그제야 김진세는 얼굴을 들고 석쉼한 목소리로 말했다.
《오늘 좀 섭섭한 일이 있었습니다.》
《
《로약자들이라고 할 때에야 년세도 많고 쇠약해져서 일도 못하고 잘 운신도 못하는 로인님들을 이르는 말이겠지요.》
마종삼이 눈을 번쩍거리며 김진세의 무릎을 몰래 툭 건드리였다.
김진세는 얼굴이 환히 밝아졌다.
《
기쁨에 넘쳐 이렇게 말하는 그의 눈에서는 물기가 번들거렸다.
《아-니, 무슨 일들입니까? 그래 그 말을 물으러 왔단 말입니까?》
마종삼이 주저없이 긍정하였다.
《예,
지난날의 설음이 북받쳐오르는듯 마종삼의 목소리는 갑자기 떨리였다.
《돌이야 우리가 잘 다루지요.… 지난 〈토벌〉때두 보니깐 저 뾰족산같은데서 유격대동무들이 돌을 굴려서 왜놈들을 치는데 그렇게 하나하나 내리굴려서야 몇놈의 골통을 까겠습니까.… 그래서 이번에는 싸움도 클것 같은데 우리가 나서서 좀 본때를 보이자고 맘먹었지요. 저녁녘에 석전을 벌릴만한 터를 잡아보자구 뽀족산앞으로 나가다가 걸렸습니다. 무작정 돌아가라는게지요. 의향을 말해도 쓸데없습니다. 저기가 어디라고 탄알이 앵앵 날아다니는데 나가 쏘다니겠는가, 전쟁이라는게 노루나 메돼지잡인줄 아는가, 누구 속을 썩이자구 비칠데 안 비칠데를 모르고 물덤벙불덤벙인가, 로약자들은 대피소로 가게 됐으니 어서 산속에 들어가배겨서 움쩍말라는게지요. 무산자라구 자꾸 내세워주니까 이건 전쟁마당에까지 다 비쳐든다는게 아닙니까.》
김진세가 말이 지나치는 그에게 눈을 흘기였다.
《말이야 바루 해야지 어디 그런 소리야 했소? 원…》
《그게 누구입니까?》 하고
《자위대 홍병일동무인데… 싸움도 다가와 피가 끓을 때라 그렇게 됐겠지요.》
《홍병일이가…?》
김진세는 다시 머리를 수굿하고있다가 나직이 말하기 시작하였다.
《
《아, 그런 좋은 생각을 하셨단말입니까! 유격대도 중요하지만 아바이네들 같은분들의 조력이 있으면야 왜놈들을 더 잘 칠수 있지요. 그런데 석전을 어떻게 하렵니까? 자, 어디 들어봅시다! 큼직하게 지략을 펴보십시오!》
김진세가 권하자 마종삼이 동심이 어린듯 한 눈을 총명하게 빛내이며 움쭉 일어났다.
그는 엉거주춤 서서 손시늉을 해가며 설명하였다. 처음에는
《저희들은 왜놈들이 밑으로 지나갈만 한 가파로운 산중턱에다가 돌무지들을 잔뜩 쌓아놓자는겝니다.
밑에 깐 통나무를 뽑으면 한꺼번에 허물어져내리게.… 처음에는 이렇게 돌담장처럼 쭉 쌓다가 그우에 큰 돌, 작은 돌을 이렇게 높게 쌓아올리면
됩니다. 왜놈들이 밑으로 지나갈 때 밑에 깐 통나무를 슬쩍 뽑아버리면 와르르 쿠당쾅쾅 돌사태가 쏟아져내려갑니다.
《대단합니다! 아주 그럴듯합니다!》
두 농민이 돌아간 다음
구석쪽에서 침통한 얼굴로 군복저고리의 터진데를 깁던 전령병은
《저, 우리가 김진세아바이네 집에 처음 찾아갔던게 어느날이였던가? 우리가 여기 소왕청에 도착한 이튿날이였지?》
《예…》
《쌍암촌에 처음으로 나간건 그다음이였던가?》
《예…》
《참 그사이 많은 길을 걸었지.… 성림이, 하모니카라도 불어주지 않겠나?》
《예? 하모니카요?》
《그래… 아무거나 한곡조 불라구!》
성림이는 얼굴이 활짝 밝아졌다. 그는 배낭속에 깊이 간수해두었던 하모니카를 얼른 꺼내서 바지무릎에 한두번 씻고는 입에 가져갔다.
방안에 하모니카의 경쾌한 선률이 흐르고
(그들도 근거지에 이런 위기가 닥쳤다는것을 알면 김진세와 마종삼, 저 지유복이처럼 우리를 지원해나설것이다. 그렇다.
왜놈들은 우리보다 총과 대포를 더 많이 가지고있지만 우리는 사람들을… 사람들을 더 많이 가지고있다. 우리는 인민대중을 가지고있다!)
《사람들의 의리는 어려운 정황에서 더 뚜렷이 나타나는것 같습니다. 어제 쌍암촌의 지유복회장이 농민들을 데리고 낟알섬을 지고 나를 찾아왔습니다. 요긴하게 써달라고… 김진세와 마종삼농민은 이제 싸움이 붙으면 석전으로 유격대를 돕겠다고 찾아와서 그 묘술까지 내놓았습니다. 나는 그들의 궐기를 전체 근거지인민들의 의사를 대표하는 소행이라고 보았습니다. 우리에게는 이런 인민들이 있습니다. 우리 유격대가 인민대중과 잘 합심한다면 백배, 천배의 힘을 더 얻어가지고 싸울수 있습니다. 때문에 근거지의 방위력을 순 유격대의 력량으로만 타산하고 적의 대병력과 대비하는건 큰 잘못입니다. 우리의 방위력에는 응당 인민대중의 무궁무진한 지혜와 힘이 가산되여야 합니다!》
성림이는 얼마후 군모에 기장쌀을 가득 담아가지고 들어와 책상우에 놓았다. 구수한 곡식냄새가 물씬 풍기였다.
모든 사람들이 기쁨에 넘쳐 그 낟알을 굽어보았다.
《동무들, 이건 보통 낟알이 아닙니다. 이 기장쌀 한알한알에는 우리를 지지성원하는 인민들의 지성이 깃들어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여기 근거지에 와서 벌린 혁명사업과 모든 시책들이 정당했고 인민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는 산 증거입니다. 이제 싸움이 붙으면 인민들은 우리를 적극 도와나설것입니다. 나는 확신합니다. 이제 왜놈들이 접어들면 여기에서는 군대와 인민들이 몽땅 떨쳐나서 놈들을 족치는 대인민전쟁이 벌어질것입니다.
우리가 실현한 로선과 시책들의 정당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의혹을 품었던 사람들만이 이 마당에 와서 인민대중의 궐기여부를 우려할수 있습니다… 동무들, 우리는 올가을에 첫 곡식을 수확했을뿐아니라 더 큰것을 수확했습니다. 그것은 인민대중의 확고한 지지입니다. 우리는 바로 이것을… 이것을 얻었습니다!》